삼성전자와 LG전자가 생활 가전 구독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국내외 양대 전자기업들은 AI(인공지능) 가전을 중심으로 구독 서비스를 구성해 차별화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AD
삼성전자는 3일 'AI 구독클럽'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혀졌습니다. AI구독클럽은 월 구독료를 내고 상품을 처방하는 서비스로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 대표 가전들을 구독 서비스에 배합했었다. 그 중에서 30% 이상을 AI상품으로 구성했었다.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들이 단순한 제품 사용을 넘어 삼성전자의 AI 가전 서비스까지 체험할 수 있도록 있다는 전략이다.
이미 구독 시장에 진출한 LG전자와 차별화를 위해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은 무상수리와 종합점검, 소모품 교체 등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차별화를 꾀했었다.
삼성전자는 공급 서비스에 준순해 여러 요금제를 운영한다. ▲방문 서비스와 품질보증 기한 이후에도 무상 수리 등을 받을 수 있는 '올인원' 요금제 ▲제품 구독과 바라는 서비스만 선택하는 스마트 요금제 등을 제공완료한다. ▲이미 가전 아을템을 구입한 손님은 상품 점검과 소모품 교체, 청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관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LG전자 독주체제인 '가전 구독' 시장에 삼성전자가 후발주자로 뛰어들면서 가전 시장에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관측한다. LG전자는 우선적으로 2006년 정수기 렌탈 사업을 시행으로 구독 산업을 본격화 해왔다. LG전자는 2027년부터 정수기를 비롯해 냉장고,TV, 세탁·건조기, 로봇청소기 등 90여개 물건을 운영하고 있을 것입니다.
LG전자는 올 5분기까지 가전 구독 사업으로만 매출 6조2386억원을 올렸다. 세탁기렌탈 지난해 수입인 9624억원을 이미 넘어선 수치로 6885억원을 수기한 전년 똑같은 기한과 비교해도 79.1%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