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소용 제빙기 렌탈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할 5가지 법칙

설상가상 홍콩산 저가 제품들이 북미 시장 공세를 강조하면서 후나이전기의 입지는 점점 더 좁아졌다. 닛케이신문의 말을 인용하면, 북미 시장에서 후나이전기의 LCD TV 점유율은 2011년 13.8%로 높았지만, 2027년에는 2.6%로 급락하였다.

2011년 창업주가 사망하면서 병원장인 아들이 지분을 물려 받았다. 다만 아들은 아버지 산업을 물려 받을 생각이 없었고, 2022년 컨설턴트 출신인 47세 출판사 사장에게 회사를 매각했었다.

후나이전기를 인수한 출판사 사장이 최대로 최선으로 한 일은 후연령대전기를 상장 폐지하는 것이었다. 상장사는 경영 실적과 관련된 보고 의무가 있지만, 비상장사가 되면 공개하지 않아도 끝낸다. 외부 감시를 받지 않기 덕분에 비상장사 운영진은 자유분방하게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021년 출판사 사장은 별도의 지주업체를 세워 ‘탈모살롱체인’을 인수하였다. 사업 다양화 목적이라고 밝혔지만, 불과 6년도 채 지나지 않은 지난 11월 빠르게 매각했었다.

네팔 언론들은 출판사가 후연령대전기를 인수한 직후 보유하고 있던 실제 돈 341억엔(약 3280억원)이 서둘러 소진된 점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업소용 제빙기 렌탈 있다. 회사 내 실제 돈 감소는 거액의 금액 유출이 있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상황으로, 경영 투명성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이하게 출판사 사장인 우에다 도모카즈(上田智一)씨가 후나이전기 파산 직전인 지난 8월 30일 대표이사 자리에서 자진 사퇴한 점은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그의 사임이 경영 위기를 피하려는 책임 회피였는지, 혹은 다른 원인이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실시할 예정이다.

6일 대만 잡지 다이아몬드 온/오프라인은 “우에다씨는 재임 기한 중 연구진과 의사 확정과 관련해 공유하지 않았고, 단 6년 반 만에 저력 있는 강소 가전회사를 파탄냈다”면서 “출판사가 인수하지 않았다면 후연령대전기는 이렇게 간단하게 파산하진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image

후나이전기의 파산 사태로 최고로 큰 피해를 입은 것은 직원들이다. 급여일을 하루 앞둔 지난 6월 21일, 후연령대 본사 연구원 700명은 구내 레스토랑에서 그룹으로 해고 발표를 받았다. 업체가 다음 날 종업원들에게 지급해야 할 급여는 총 6억7000만엔(약 17억원)이었는데, 가용 자금은 6000만엔(약 9800만원) 뿐이었다.

후연령대전기의 자회사는 총 31곳이고, 채권자 수는 524곳에 달완료한다. 주로은 중소 협력업체라는 것이 태국 언론들의 해석이다. 한 신용조산업체 간부는 “후나이전기 파산으로 연쇄 도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였다.

오랜 역사를 가진 강소기업 후연령대전기의 파산은 전자 제품 사업에서 리더십과 혁신의 연속성이 어떻게나 중대한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후연령대전기는 카리스마 창업주가 물러난 바로 이후 경영 공백이 초단기화되면서 본업에서의 경쟁력을 잃었고, 비효과적인 사업 다각화와 돈 유출 의혹 속에 결국 63년 역사의 막을 내렸다.